미국은 CDC를 중심으로 pandemic이 창궐하는 경우에 대한 연구 및 대비를 해왔는데
pandemic이 창궐하는 경우 대량의 마스크 부족 현상은 피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현시점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바로 그 경우에 해당한다)
그럼 미국은 위와 같은 위험성을 알리는 결론을 토대로 무슨 연구를 해왔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글의 제목과 같이, 마스크를 재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참고자료 :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of influenza-contaminated N95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s.
https://www.ncbi.nlm.nih.gov/pubmed/29678452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스크 재사용의 핵심은 자외선 살균(UVGI) 이다.
2018년 미국 감염 통제 저널(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오염된 N95 마스크에 1 J/cm(2)의 강도의 자외선을
1분 정도 가하였을 때 바이러스가 현저하게 감소했다.
물론 현재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아닌,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실험 결과가 필요하다.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자외선 살균의 효용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위 논문은 참고할 만한 유용한 자료이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마스크를 자외선에 노출시켰을 시 마스크의 성능에 대한 연구도 존재한다.
참고 자료 : Effects of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UVGI) on N95 Respirator Filtration Performance and Structural Integrity.
https://www.ncbi.nlm.nih.gov/pubmed/25806411
2015년 산업 및 환경 위생 저널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N95 마스크에 120-950 J/cm(2)의 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필터 성능의 감소는 경미했다.
즉, 1 J/cm(2)의 120배-950배의 강도로 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N95 마스크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의미이다.
그럼 이제 실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일단 위 연구에서 언급되는 자외선 살균은
단파장 자외선인 UV-C를 사용하여 핵산을 파괴하고 DNA를 파괴하는 소독 방법을 말한다.
그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단파장 자외선 제품은 뭐가 있을까?
바로 자외선 살균 램프이다.
위 표와 같은 UV출력을 기준으로 자외선 살균 램프를 선택하여 마스크를 살균, 재사용할 수 있다.
(UV 출력 2.5 기준 60초)
위 방법과 같이 마스크를 살균하여 재사용했을 경우 마스크의 기본적 사용시간은 8시간이다.
관련 자료 : Recommended Guidance for Extended Use and Limited Reuse of N95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s in Healthcare Settings
https://www.cdc.gov/niosh/topics/hcwcontrols/recommendedguidanceextuse.html
그러나 해당사항과 관련해 참고할 내용은 이전 글에서 이미 언급하였다.
https://le-jadin.tistory.com/10
일회용 마스크 사용기간 (일회용마스크를 재사용 해도되나?)
계속되는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인해 마스크는 정말 생활의 필수품이 되었다. 하지만 그만큼 구하기도 힘들어진 일회용 마스크는, 이름 그대로 한번 쓰고 버리기에는 아까운 생각도 든다. 그렇다면 이 마스크는..
le-jadin.tistory.com
위 정보들을 종합하여 사용자는 유기적으로 마스크를 사용하길 바란다.
몸에좋은 우유를 고르는 방법 (우유에 대한 지식 3가지) (0) | 2020.03.08 |
---|---|
술 덜취하는법(술 잘마시는 Tip) (0) | 2020.03.07 |
일회용 마스크 사용기간 (일회용마스크를 재사용 해도되나?) (0) | 2020.03.03 |
침(타액)에 대한 16가지 지식 (0) | 2020.02.28 |
인류와 바이러스에 대해 (0) | 2020.02.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