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건강한 삶을 위한 '혈압'에 대한 기본상식

건강지식

by 르 자뎅 2020. 2. 19. 20:18

본문

1. 혈압측정 시 혈압은 최고혈압(수축기)과 최저혈압(이완기) 두개 숫자로 표시한다

 

 

 

 

 

 

2. 160 /80의 혈압이 160/110 보다도 훨씬 위험하다. 죽을 확률이 두배쯤 높다

 

 

 

그 이유는 '맥압’이다.160/80의 맥압은 80이고, 160/110의 맥압은 5050이란 걸 알 수 있다.. 이때 맥압이 50이 넘어가면 10마다 죽을 확률이 30%씩 올라간다

 

 

 

 

 

 

 

 

3. , 맥압이 높다는 것은 혈관이 비정상이라는 말이다

 

 

 

 

 

 

 

4. 혈압은 팔뚝 위를 지나는 상완동맥의 혈관 압력을 잰 것이다. 상완동맥이 지나가는  팔뚝 위에 압박대를 차고, 공기펌프로 압박대를 부풀려 상완동맥을 막아 피가 못 흐르게 만든다

 

 

 

 

 

 

 

 

 

5. 공기펌프의 공기를 조금씩 빼다 보면 혈관을 누르는 힘보다 피가 혈관을 지나가려는 힘이 세져서 피가 흐르기 시작한다.  이때 처음 피가 지나가는 시점의 혈관 압력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하며, 청진기를 위에 대면  슉~슉~슉하고 피가 지나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6. 공기펌프의 공기를 계속 빼다 보면 어느 순간 혈관이 다 열려서 피가 지나가는 소리가 안 들리기 시작한다. 이때를 최저혈압(이완기)이라고 한다

 

 

 

 

 

 

 

 

 

7. 혈관이 맛이 가서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동맥경화가 오면, 공기펌프 공기를 많이 빼서 압력을 크게 낮출 때까지 혈관에 피 지나가는 소리가 계속 들린다. , 최저혈압이 낮아 맥압이 높다는 말이 된다

 

 

 

 

 

 

 

 

 

9. 맥압이 높다는 것은 혈관이 좁아지거나 딱딱해졌다는 말로 터지기 쉬운 상태라는 말이다. 피는 심장이 수축이완을 하며 파도 물결처럼 피를 혈관으로 쏘는데 혈압이 높고, 혈관이 맛이 가면 어느 순간 혈관이 터지게 된다

 

 

 

 

 

 

 

 

 

10. 당뇨는 사람을 야금야금 망가뜨리지만, 혈압은 멀쩡하다가 한방에 사람을 보내버린다.  혈관이 뇌 부위에서 터지면 뇌출혈이라고 한다. 드라마에서는 뒷목을 잡고 어어 하면서 쓰러지지만, 실제 뇌출혈이 발생하면 조용히 잠드는 것처럼 정신을 읽고 쓰러진다.

 

누군가 발견해서 119를 불러야 한다. 6시간이 골든타임으로 심장마비보다는 시간 여유가 좀 더 있다

 

 

 

 

 

 

 

 

 

11. 맥압도 중요하지만, 양팔의 혈압 차이도 중요하다. 양팔 혈압 차이가 10 정도는 정상인도 차이가 날 수 있지만, 20 이상 차이가 나면 혈관 어디가 막혔다고 의심해야 한다.(전문적 진단 필요) 혈압을 잴 때 양쪽을 같이 재보는 습관이 좋다

 

 

 

 

 

 

 

12. 혈압이 높고, 혈관이 맛이 가 있는 데다, 당뇨로 피가 끈적하기까지 하면 정말 최악 중에 최악이다. 여기에 비만을 붙여서 대사증후군이라고 한다

 

 

 

 

 

 

13. 고혈압 환자에게 아침운동은 극약이다. 밤새 수분이 빠져 피는 끈적끈적해있는데 운동을 한다고 피를 세게 돌리면 혈관이 터지거나 막힐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아침운동을 해야 한다면 충분히 물을 마셔 피에 물타기를 해주고, 체조 등으로 몸을 천천히 가동하는 게 필요하다

 

 

 

 

 

 

 

14. 일주일에 두 번 정도 아침, 점심을 굶어 공복을 가지는 간헐적 단식과, 걸으면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정도의 가벼운 걷기를 주 3회 30분 정도 해주는 게 좋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